미국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발행사들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최종 수정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이 신고서에는 ETF 수수료도 기재됐습니다.
새로 알게된 것 : 블랙록, 피델리티, 21셰어스(21Shares), 비트와이즈 등 이더리움 현물 ETF를 신청한 발행사들은 17일(현지시간) ETF 운용 수수료를 공개했습니다.
운용 수수료란 ETF 운용에 대한 대가로 발행사들이 1년 동안 가져가는 몫을 말합니다. 가령 운용 수수료가 1%라는 얘기는 투자금의 1%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365일로 나눠서 매일 운용사들이 가져갔다는 얘기입니다.
Sponsored대부분의 자산운용사들은 0.20%에서 0.25%를 기본 수수료로 책정했습니다. 물론 이용자들을 끌어당기기 위해 초기 프로모션 조건을 붙이는 식입니다 블랙록은 기본 수수료를 0.25%로 책정하되, 상장 후 일정 기간 동안은 수수료를 면제합니다. 그렇게 유입 자금 25억달러까지 0.12%의 수수료를 적용하는 것이 이들의 목표입니다.
21셰어스는 기본 수수료가 0.21%입니다. 하지만 초기 유입되는 5억달러까지는 수수료를 받지 않을 방침입니다. 비트와이즈(0.20%), 인베스코갤럭시(0.25%), 반에크(0.20%), 프랭클린 템플턴(0.19%) 등도 모두 초기 자금 유입분이 5~15억달러 수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운용수수료를 받지 않을 예정입니다.
독특하게도 그레이스케일은 다른 7개의 자산운용사 대비 현저하게 높은 2.5%의 운용수수료를 책정했습니다.
또 유출?: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현물 ETF(ETHE) 상품은 수수료 공개 전 가장 많은 관심을 모았습니다. ETHE의 운용 수수료가 지나치게 비싼 수준이면 일단 이 돈은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ETHE에는 이미 100억달러 상당의 이더리움 약 290만개가 쌓여 있습니다.
비슷한 일이 올해 1월 출시된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에서도 발생된 바 있습니다. 62만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쌓여 있던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현물 ETF(GBTC)에서 출시 직후부터 하루 4억달러가 넘는 매도세가 쏟아지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때문에 초기 한 달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에 적지 않은 매수 자금이 유입됐음에도 결과적으로는 비트코인 가격은 결과적으로 약 20%의 조정을 받아야 했습니다. 당시 다른 발행사들은 무료 혹은 0.2%~0.5%의 매우 낮은 운용 수수료를 적용한데 반해, GBTC는 1.5%의 수수료를 받았습니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이날 발행사들이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함에 따라 SEC에서는 최종 승인을 앞둔 심사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예상 승인일은 22일입니다. 블룸버그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SEC가 발행사들에 최종 신청서 제출을 요청하면서 23일 출시를 할 수 있도록 기한을 제시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