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가 블록체인 기반 통합 시민플랫폼 시범사업을 개시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디지털 시민증’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공공서비스를 통합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새로 알게된 것 : 부산시는 지난 14일 시청사에서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 통합 플랫폼 시범사업’ 출범식을 진행했습니다.
Sponsored이 사업은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인 부산시가 추진하는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의 일환입니다. 일단 부산시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고, 향후 글로벌 지자체에 수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중요한 지점 : 핵심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일종의 ‘디지털 시민증’을 만드는 것입니다. 비대면자격확인 서비스를 통해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신원확인) 기반으로 신원인증이 가능한 신분증을 만들고, 현재 주민등록증 기반으로 이뤄지는 모든 민원 서비스를 이 신분증에 붙이는 내용입니다.
DID란 탈중앙화 방식으로 신원을 인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통상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같은 신분증을 이용한 신원인증은 매번 중앙화 기관의 확인과 검증이 필요했지만, 이 방식은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방식입니다. 중앙화 방식에 비해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적고, 데이터 주권 측면에서도 더 바람직한 방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우선 이 디지털 시민증을 통해 시민들이 올해 6월까지 다자녀교육지원포인트, 7월 1일까지 청년만원문화패스 등 정책자금 지원을 신청할 수 있게끔 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을 활용한 부산페이 서비스, 부산 지역의 공공 지역정보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15분도시생활권맵’ 등을 이 디지털 시민증에 붙일 예정입니다. 이후에는 공공시설 교육/강좌 신청 및 예약 결제, 주민 의견 수렴 서비스 등도 디지털 시민증 기반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앞으로 무슨 일이 : 부산시는 14일부터 통합 시민플랫폼 서비스를 기존 ‘동백전’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시범사업 기간동안 플랫폼 효과를 검증하고, 이후 본사업은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사업(수익형 사업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민간과 비교했을 때 뒤떨어지지 않은 사용성을 가진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얘기입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기반으로 부산만의 차별화된 공공서비스를 더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