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구글 검색에서 주식보다 코인이 25% 가량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국내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관심도가 높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새로 알게된 것 : 웹3.0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27일 보고서를 내고 한국 가상자산 커뮤니티가 다른 국가에 비해 암호화폐 관심도나 자금 동원력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Sponsored디스프레드 리서치는 2023년 기준 구글트랜드 키워드별 관심도 조사를 활용했습니다. 미국은 주식(stock)의 검색량이 크립토(crypto) 대비 약 20배 높고, 일본은 주식(株式)이 코인(コイン) 대비 약 7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코인’ 검색량이 ‘주식’ 대비 25% 가량 높게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사건의 배경 :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거래량 기준으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다음으로 높은 수치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알트코인이자 비트코인 레이어2 코인으로 알려진 스택스(STX)는 지난해 8월 기준 전 세계 거래량의 90%가 한국에서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대체가능토큰(NFT) 마켓플레이스 점유율 1위인 블러의 자체 토큰 블러(BLUR)의 경우에는 지난해 1월 전 세계 거래량의 60%가 한국에서 발생했습니다.
중요한 지점 :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이 수치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글로벌) 가상자산 업계에서 한국 위상과 관심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는 추세”라고 덧붙였습니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실제로 지난 2022년 하반기까지는 주요 해외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헤드라인에서 ‘한국(Korea)’으로 검색했을 때 권도형 전 테라폼랩스 대표에 대한 기사가 대부분이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정부 규제 및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 기사 수가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으로 무슨 일이 : 이승화 디스프레드 리서치 팀장은 “한국 가상자산 커뮤니티 분석은 실제로 한국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시장의 특수성을 설명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