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기

규제샌드박스 벌써 1년, 블록체인, AI 등 신기술에겐 그저 제자리 걸음

author avatar

작성자
Brian Kang

editor avatar

편집자
Amy Kang

31일 1월 2020년 16:28 KST
신뢰받는

한국형 미래 기술 혁신의 꿈을 위해 야심차게 등장한 규제 샌드박스 시행 1년, 당초 계획과 달리 저조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9년 총 120건의 신청과제를 받아, 102건 (85%)가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0건 (임시허가 18건, 실증 특례 22건)이 7차례 심의위원회를 거쳐 신규 지정되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실제 시장 출시로 이어진 것은 16건에 그쳤다.

Sponsored
Sponsored

높은 법제도에 막혀, 혁신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유리 천장을 부숴 한국형 혁신 산업을 이끌겠다는 당초 계획에 비해 사실상 큰 성과를 이뤄냈다고 보기는 힘들다. 

앞서 블록체인기반 해외 송금 스타트업 모인(MOIN)은 지난해 1월 4대 분야 규제샌드박스 중 정보통신기술 분야(ICT)에 지원했다.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을 허가하고, 3만 달러 수준으로 해외송금액 제한을 풀어 달라는 것이 골자였다. 

그러나, 자금세탁, 투기 등 가상화폐에 대한 여러가지 우려에 의해 지금까지 연기되어 오고 있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부처간 추가적인 검토 및 협의가 필요하다며 모인에 대한 허용 여부를 최종적으로 연기했다. 

이에 대해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 2차관은 “특정 금융 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국회를 통과한 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모인은 규제샌드박스의 1호 신청자였으나, 안건 심사에도 오르지 못하다 4차 회의가 열린 7월에서야 겨우 안건에 올랐다. 모인은 스텔라네트워크의 XLM을 정산 매개체로 사용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송, 결제, 청산 과정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며, 수수료를 타 송금 대비 50%가량 줄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인 성명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