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권 안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한 주였죠? 지난 주 비트코인 가격은 주간으로 0.41%(17일 0시 기준) 상승했습니다.
주간 저점은 9만4500달러 부근입니다. 12일 밤 발표됐던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암호화폐와 주식 시장 모두 좋지 않았습니다.
이번 달 CPI는 3.0%로 근래 들어서 가장 좋지 않은 수준이었습니다. 우선 일반 CPI와 근원 CPI(3.3%) 할 것 없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중요하게 보는 ‘슈퍼코어’ 지수도 전월비 대비 0.76% 급등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는 작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하루 뒤인 13일 밤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3.5%를 기록하며 예상치를 상당히 상회했습니다. 이대로라면 월말에 나오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역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PCE 물가가 높게 나오면 연준의 금리인하 일정은 더 멀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주 나온 CPI, PPI 지표만으로 이미 시장은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 일정을 6월에서 9월로 3개월 미룬 상태입니다.
트럼프 정부, 악재와 호재를 ‘쥐락 펴락’
물가와 관련한 대형 악재가 발생했음에도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하락하지 않았던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전 이슈입니다. CPI가 발표된 직후인 13일 새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나라 정상과 통화하면서 종전 분위기를 만들어냈죠.
실질적으로 아주 빠른 시일 내에 종전에 도달하기는 어렵겠지만 일단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에서 정상회담을 가지기로 약속했습니다. 다만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인접국가인 유럽 연합은 협상에서 빠지기로 했습니다.
하락이 깊지 않았던 또 하나의 이유는 상호관세 시행일이 연기됐기 때문입니다. 상호관세란 미국이 무역중인 상대국에게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사실상 무역 상대국에게 자의적인 트집을 잡겠다는 내용이라서 시장에서는 우려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14일 새벽 즈음 트럼프 대통령이 이 상호관세 실행 시점을 4월 1일로 늦추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투심이 회복됐습니다.

미국채 10년물 국채 수익률 추이를 보면, CPI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던 12일 밤에는 4.65% 넘게 급등했지만 상호관세 실행 시점이 공표된 14일 새벽에는 다시 4.5%아래로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15일 자정 발표됐던 미국 소매판매 데이터가 예상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오면서 다시 전반적인 투심에 회복세가 붙었습니다. 암호화폐의 경우에는 중동의 아부다비 국부펀드가 4억3000만달러 가량의 비트코인 현물 ETF를 매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 때 비트코인 가격이 9만8500달러선까지 상승했습니다.
‘크립토 짜르’ 예고한 중대 발표…무슨 내용일까?
이번 주에는 이렇다 할 만한 미국 거시경제 지표 발표는 없습니다. 20일(목) 나오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와 21일(금)에 나오는 미국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 발표 정도입니다.
그보다는 암호화폐 업계 이슈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미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 정책과 관련한 중대 발표를 예고한 상태입니다. ‘크립토 짜르’ 데이비드 색스는 15일(현지시간) 폭스 뉴스 기자와의 대화 내용을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리트윗하면서 “정부 부처와 디지털 자산 워킹그룹이 대통령이 준 과제를 실행하기 위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며 “조만간 중대 발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부쩍 잦아지고 있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발 암호화폐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관련해서도 중대한 이슈들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현재 이더리움 현물 ETF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자산운용사들이 ETF 조건 변경 승인 신청을 넣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지난주 13일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산하 BZX 거래소는 SEC에 21셰어즈 코어 이더리움 ETF 상품에 묶여 있는 ETH를 스테이킹할 수 있도록 상품 내용을 변경해달라고 신청했습니다. 스테이킹이 아예 불가능하다는 점은 그동안 이더리움 현물 ETF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지적되어 왔는데, 그 부분을 보완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이더리움 가격은 5%가량 상승했습니다. 비슷한 신청이 또 나올 경우 가격이 반응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지난 주 밈코인 흥행 몰이를 하며 뜨겁게 달궈졌던 바이낸스 코인(BNB)과 BNB체인이 이번주에도 상승세를 이어갈지도 관심사입니다. 전 바이낸스 CEO인 자오창펑은 지난주 자신의 반려견 브로콜리 사진을 공개하며 BNB체인에서의 밈코인 투자 활동을 장려하는 행보를 보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BNB 가격은 최근 5개월 만에 최저가를 찍고, 열흘만에 40% 상승했습니다.
BNB체인이 활성화하면서 대표적인 BNB 탈중앙화거래소(DEX)인 팬케이크스왑의 일일 거래량이 30억달러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별다른 이슈들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번주에도 BNB와 연계된 밈코인 등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그럼 이번주에도 독자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