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준 해시드 대표가 비인크립토와의 인터뷰를 통해 2025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업계의 주요 트렌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습니다.
해시드는 벤처 캐피털 회사를 넘어 웹3 산업 투자 홀딩스로 성장했으며, 현재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 공동 주최, 웹3 개발자 교육 프로그램 운영, 블록체인 정책 연구 지원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터뷰에서 김서준 대표는 글로벌 암호화폐 트렌드와 관련해,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 증가, AI와 블록체인의 연결 강화, 미국 암호화폐 정책 변화에 대한 전 세계 시장의 반응 등을 특별히 강조했습니다.
2025년 암호화폐 산업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무엇입니까?
산업 전체적으로는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일부 국가들이 이미 비트코인을 전략비축자산으로 모으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한국에서도 내년에는 비트코인 ETF가 반드시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이를 준비하고 있는 기관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도 주목해야 합니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비자 거래량을 이미 넘어섰고, 현재 2,000억 달러 이상이 발행된 상태입니다. 지금까지는 가상자산 거래소나 디파이 내에서 주로 사용됐지만, 내년부터는 국제 무역이나 리테일 결제에서도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는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크립토 네이티브 영역에서는 크립토와 AI의 만남이 가장 큰 아젠다가 될 것 같습니다. AI 에이전트들의 토큰화가 엄청나게 일어나고 있고, AI 모델에 대한 거버넌스 탈중앙화도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픈AI는 실제로는 오픈AI가 아니잖아요. 폐쇄적이고 그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반면 메타의 라마의 성장을 보면, 오픈소스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AI가 훨씬 비용 효율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 증명됐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인센티브 모델이 없습니다. 개발자들을 위한 개방화된 생태계에서의 인센티브 모델과 거버넌스 탈중앙화가 굉장히 중요한 실험이 될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에 특별히 유리하겠죠?
미국 입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을 싫어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글로벌 통화 준비자산에서 미국 달러의 비중은 제한적이지만, 스테이블코인에서는 달러의 비중이 거의 99%입니다. 오히려 영토가 커진 거죠. 더 압도적으로요. 유로 크립토나 일본 엔 크립토는 거의 안 쓰잖아요. 네트워크 이펙트가 더 강해졌습니다.
실제로 정부 입장에서도 이걸 싫어할 이유가 없어요. 돈세탁이나 이런 것들은 현금에서도 많이 일어나고 있고, 이게 온체인으로 올라가서 관리되면 오히려 정부가 모니터링하기 좋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와 KYC/KYB만 따르면 정부가 싫어할 이유가 하나도 없습니다.
트럼프 정부가 암호화폐에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각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트럼프가 최근 뉴욕 증권거래소 방문에서 주식 얘기보다 크립토 얘기를 더 많이 했어요. 그 정도로 크립토와 블록체인이 가져오는 임팩트가 미국 금융에서부터 이제 폭발적으로 시작이 될 겁니다.
많은 국가들이 이 변화에 보조를 못 맞추고 있는 상황인데, 시의성과 심각성을 정치인들이 빨리 인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지금 증권형 토큰 관련된 법안도 계속 보류돼 있잖아요. 이런 것들을 빨리 처리해서 발맞춰 나가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따라잡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는 글로벌 금융 환경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것입니다. 미국과 같은 주요 경제국이 암호화폐 정책에서 명확한 방향을 신호할 때, 국가들은 이 디지털 금융 변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자신의 위치와 대응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 시장은 어떤 특징이 있다고 보시나요?
한국 시장의 큰 특징은 일단 리테일(개인 투자자) 파워가 어마어마하죠. 근데 이 리테일이 지나치게 리테일로만 발달돼 있어서 기관 활동이 없습니다. 이게 가지고 오는 문제가 뭐냐면,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성을 믿으면 적절한 펀드 상품에 투자하면 되는데, 한국에는 그런 기관 상품이 없으니까 개개인이 다 전문가가 돼야만 하는 상황이에요. 그러니까 더 오히려 뜨내기 정보들이 시장을 호도하고 사기가 판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발자 측면에서 보면 한국이 애플리케이션을 잘 만드는 국가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웹툰 섹터에서도 그렇고, 한국에 있는 웹2 시대 대다수의 유니콘들을 보면 다 애플리케이션 섹터에서 등장했고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섹터에서 자라고 있잖아요. 블록체인이라는 게 말하자면 글로벌을 대상으로 한 퍼블리싱 플랫폼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에서 한국 개발자들에게 큰 기회가 열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해시드는 이런 시장 환경에서 어떤 포지셔닝을 가지고 있나요?
다른 웹3 VC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애플리케이션 투자 비중이 굉장히 높다는 겁니다. 미국에 있는 메이저 크립토 VC들을 보면 포트폴리오들을 분석하면 거의 대부분의 영역이 블록체인 레이어에 집중되어 있어요. 소위 얘기하는 레이어 원, 레이어 2, 혹은 인프라에 거의 80~90%의 투자를 하고 있는데, 저희는 애플리케이션 투자 비중이 50%가 넘습니다.
예를 들면 저희가 2018년부터 웹3 게이밍 섹터에 투자를 시작했던 최초의 VC 중 하나였고, 액시 인피니티를 만든 스카이메비스, 로닌, 샌드박스 등에 리드 투자를 했습니다.
해시드가 다른 투자사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무엇인가요?
해시드 본사는 두 가지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벤처스를 통한 에쿼티 투자와 자기자본을 통한 크립토 직접 투자입니다. 한국의 경우 벤처투자조합으로는 크립토에 직접 투자가 안 되는 구조라서 투자 비히클을 두 개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죠.
또한 저희는 여러 벤처빌딩 계열사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게이밍 분야의 인큐베이터인 언오픈드(UNOPND)가 대표적입니다. UNOPND는 케이팝 엔터사인 모드하우스를 만들었고, 여기서 tripleS라는 첫 번째 IP가 상당한 성공을 거뒀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사들은 투자 활동에만 집중하지만, 저희는 크립토의 매스 어답션을 위해 현재 비어있는 공간들을 채우면서 투자 활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단순한 VC를 넘어 ‘이코시스템 빌더’로서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