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ZK네이션이 ZKsync 에어드랍 논란에 침묵을 깼다

2 mins
업데이트 Oihyun Kim

요약

  • 매터 랩스의 ZKsync 에어드랍 발표는 주요 참가자들이 제외되어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엘리먼트와 다른 주요 기여자들은 에어드랍이 자신들의 중요한 공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 ZK네이션은 거래량보다 장기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며 자격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 promo

6월 17일로 예정된 매터 랩스의 첫 번째 ZKsync 에어드롭 발표는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번 에어드랍은 ZKsync 기본 토큰의 17.5%를 분배할 예정이지만, 몇몇 주요 생태계 참여자가 제외되어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ZK네이션의 분석

NFT 마켓플레이스 엘리먼트와 같이 이더리움 레이어 2 ZKsync 시대를 기반으로 구축된 유명 프로젝트들이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예를 들어, 6월 12일까지 ZKsync Era 전체 거래량의 약 70%를 차지했던 엘리먼트는 SNS를 통해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엘리먼트는 “ZKsync에서 가장 큰 NFT 마켓플레이스인 우리는 에어드랍을 하나도 받지 못했는데, 이거 농담이죠?”라고 썼습니다.

1,500만 달러의 가스비를 벌어들인 NFT 개발 플랫폼인 ZKApe와 탈중앙화 메시징 플랫폼인 DMail도 비슷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디메일은 높은 사용자 참여도와 거래 활동을 고려할 때 “믿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제외 이유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ZK네이션은 암호화폐 에어드랍 배정의 자격 기준과 근거를 설명하는 자세한 블로그 게시물을 공개했습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사용자(89%)와 기여자(11%)라는 두 가지 주요 범주를 통해 ZKsync 에어드랍 자격을 갖춘 지갑을 명확히 설명했습니다. 사용자는 암호화폐 자산을 ZKsync Era에 연결하고 7가지 자격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해야 했습니다. 한편, 기여자는 개발 및 커뮤니티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았습니다.

ZK네이션은 기회주의적인 참여자보다는 장기적이고 유기적인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강조했습니다. 블로그에서는 거래량만으로는 할당 규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신 자격 기준, 시간 가중 평균 잔액(TWAB), 보너스 배율의 조합으로 할당량이 결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얼리 어답터와 상위 ZKsync 네이티브 NFT 보유자는 할당 배수를 더 많이 받았습니다.

“여러 체인에 걸친 지갑의 이력을 통해 소유자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은 특히 커뮤니티의 일원이라고 느낄 때 더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탐색하고, 시도해보고, 투기성 자산을 보유하는 데 시간을 투자합니다. 반면에 봇과 기회주의자들은 최소한의 노력만 기울이며 안전하게 플레이하고, 커뮤니티에 섞여 가치를 추출하려고 노력합니다.”라고 ZK Nation은 썼습니다.

블로그는 구체적인 불만 사항도 언급했습니다. 여러 자격 기준을 충족했지만 더 적은 배당을 받은 일부 사용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액이 낮아지거나 적격 배율이 부족했을 수 있습니다. 또한, ZKsync Lite 사용자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 자산을 ZKsync Era로 연결해야 했는데, 일부 사용자는 이 단계를 간과했습니다.

자세히 읽어보세요: 2024년 예정된 최고의 에어드랍

이 논란은 공정한 암호화폐 에어드롭 분배의 문제점과 인정과 보상의 균형을 맞추는 문제를 잘 보여줍니다. 에어드랍 날짜가 다가올수록 커뮤니티는 기준과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며 매터 랩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Trusted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Frame-1934.png
Bary Rahma
바리 라흐마는 뉴욕대학교에서 저널리즘 학위를 취득한 유능한 저널리스트입니다. 그녀는 CNN과 같은 유명 언론 매체에서 일하며 조사 기술과 스토리텔링 능력을 선보였습니다. 현재는 비인크립토에서 역동적인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통찰력 있는 기사를 작성하며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인크립토에서 일하는 것 외에도 바이낸스의 콘텐츠 작가로서 암호화폐 트렌드, 시장 분석, 알트코인, 탈중앙화 금융(DeFi), 디지털 자산 규제, 블록체인, ICO 및 토큰노믹스에 대한 유익한 콘텐츠를 제작하며 전문성을 기여하고 있습니다. 저널리즘과 암호화폐 지식의 독특한 융합으로 업계에서 다재다능하고 존경받는 인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READ FULL BIO
스폰서
스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