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보안 침해를 일으킨 해커가 탈중앙 금융 프로젝트 먼처블(Munchables)에서 훔친 6,250만 달러를 반환했습니다.
먼처블에 먹구름을 드리웠던 이 사건은 예상치 못한 반전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회복력과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저력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습니다.
먼처블의 예상치 못한 회복
먼처블은 해커의 정교한 사이버 공격의 피해자가 되었습니다. 공격자는 0x6e8836f050a315611208a5cd7e228701563d09c5라는 암호 주소로만 식별되었으며, 이로 인해 6250만 달러 상당의 17,400 ETH가 손실되었습니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인 ZachXBT는 이 공격을 꼼꼼하게 문서화하여 북한과 연계된 핵심 개발자와 연결시켰습니다.
“먼처블 팀에 고용되어 익스플로잇 공격자와 연결된 4명의 개발자는 서로를 추천하고, 동일한 거래소 입금 주소 두 곳으로 정기적으로 송금하고, 서로의 지갑에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보아 모두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라고 ZachXBT는 말했습니다.

그러나 해커는 전례 없는 조치로 탈취한 모든 자산을 다중 서명 계약으로 반환하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사용자 자금을 복구하는 데 필요한 개인 키도 돌려주었습니다. 베일에 싸여 있던 해커의 이러한 행동은 해커가 마음을 바꾼 동기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먼처블 개발자는 아무런 조건 없이 전체 자금에 대한 키를 공유하기로 동의했습니다. 모든 사용자 자금은 안전하며, 락드롭은 시행되지 않을 것이며, 모든 관련 보상도 분배될 것입니다. 향후 며칠 내에 업데이트가 이어질 예정입니다.”라고 팀은 발표했습니다.
자세히 읽어보세요: 2024년에 주목해야 할 디파이 프로토콜 11가지
이번 사건은 탈중앙 금융 부문의 현재 위험을 보여주는 동시에, 커뮤니티가 유의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피해 회복의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먼처블이 이번 시련을 극복하면서 투자자들에게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의 취약성을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