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머지(The Merge⋅합병)와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스테이킹이 증가하면서 중앙집중화가 심화돼 스테이킹 수익률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JP모건은 5일(현지시각) 발표한 투자자 노트에서 이더리움의 중앙화 증가로 인해 수익률이 낮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JP모건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리도와 코인베이스, 피그먼트, 바이낸스, 크라켄의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전체 스테이킹의 50% 이상을 통제하고 있다”며 “리도만 거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덧붙였다.
스테이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암호화폐 지갑에 자금을 보유하는 행위를 말한다. 스테이커라고도 불리는 홀더들은 그들의 노력에 대해 보상을 받는다. 스테이킹은 지분 증명(PoS) 블록 체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이다.
탈중앙화 플랫폼 리도도 높은 중앙화 수반
애널리스트들은 암호화폐 업계가 탈중앙화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인 리도를 코인베이스나 바이낸스와 같은 중앙화된 스테이킹 플랫폼에 대한 더 나은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탈중앙화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도 높은 수준의 중앙화를 수반한다”고 JP모건은 지적했다. 단일 리도 노드가 7000개 이상의 검증자 세트 또는 23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을 운영을 하고 있었다.
이어 분석가들은 “노드 운영자는 소수의 지갑 주소로 통제되는 리도의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에 의해 선정되며, 리도의 의사 결정도 다소 중앙 집중화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중앙 집중화를 피하기 위해 스테이킹 지분량을 이더리움 전체 스테이킹의 22%로 제한하자는 제안을 리도의 DAO가 거부한 사례를 언급했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리도는 DAO가 99%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제안을 거부했기 때문에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JP모건은 “집중된 일부의 유동성 공급자나 노드 운영자에서 장애가 발생하거나 공격의 표적이 될 수 있고 과점을 만들기 위해 공모할 수 있다”며 중앙 집중 강화에 우려를 나타냈다.
더 머지,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수익률 하락
JP모건은 중앙화 강화 이외에도 더 머지도 스테이킹 수익률 하락을 이끌었다고 지적했다.
더 머지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합의 메커니즘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한 업그레이드를 말한다.
더 머지 이후 네트워크 중앙화가 심화됐다고 분석한 것은 JP모건뿐만이 아니다. 여러 분석가는 지난해 9월 15일에 실행된 더 머지는 이더리움의 탈중앙화를 방해하는 주요 장애물이자, 수익률 하락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어, 분석가들은 “표준 블록 보상이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전 4.3%에서 현재 3.5%로 감소했다”며 “총 스테이킹 수익률은 상하이 업그레이드 전 7.3%에서 현재 5.5%로 감소했다”고 썼다.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노드 중앙화는 이더리움의 주요 과제 중 하나라는 점을 인정한 바 있다. 지난 9월, 부테린은 이 문제를 해결할 완벽한 솔루션을 찾는 데 20년이 걸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