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유럽계 암호화폐 투자회사 코인셰어즈가 미국 규제 정책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했다.
코인셰어즈는 29일(현지시각) 코인텔레그래프와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자산을 전통 금융자산과 유사하게 취급하는 미국의 규제 방식이 오히려 두 산업의 융합을 촉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코인셰어즈는 지난 22일 신 사업부인 코인셰어즈 헤지펀드 솔루션의 출범 소식을 알리며 미국 진출을 선언했다.
코인셰어즈의 미국 진출은 여러 미국 기업들이 규제를 이유로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 진행됐다. 특히,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증권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당해 유럽과 영국으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코인셰어즈 대변인은 미국은 여전히 디지털자산 발전 측면에서 글로벌 리더라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미국이 암호화폐 채택과 규제에서 뒤처져 있다는 믿음과 달리, 디지털자산을 전통적인 자산과 유사하게 취급하는 미국 규제 당국의 접근 방식이 두 산업의 융합을 독려하고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변인은 미국은 전 세계의 관리 자산의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전히 지배적인 금융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블랙록이 서클과 코인베이스와 협력하는 것에 대해 “디지털자산 세계에서의 리더십은 전통적인 시장 참여자와 신흥 금융 시장의 참여자들 사이에서의 통합에 영향을 받는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대변인은 “미국에서는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통합이 더 뚜렷하지만, 유럽에서는 두 부문의 상호 연결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즉, 미국에서는 정부 규제로 인해 오히려 전통 금융 산업과 디지털자산 산업에서 더 큰 융합과 통합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블랙록과 피델리티가 암호화폐 널리 퍼뜨릴 것”
코인셰어즈의 미국 시장 진출은 지난 7월 장 마리 모그네티 코인셰어즈 대표가 경제매체 City A.M.에 기고문을 발표한 지 2개월 만에 이뤄졌다.
모그네티는 당시 기고문에서 “미국에서 수많은 비즈니스 파트너와 업계 관계자를 만나면서 디지털자산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었다”며 “주말에 유럽에 돌아와 반성할 시간을 가졌다”고 썼다. 이어 “미국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각 업계가 활발히 아이디어 교환과 협업을 하며 디지털자산 산업의 혁신과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블랙록 등을 예로 들며,“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신청한 블랙록과 피델리티와 같은 금융 대기업은 암호화폐를 넓게 퍼뜨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전망했다.
코인셰어즈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투자회사 중 하나로 2015년 첫 번째 비트코인 상장지수상품(ETP)를 출시한 바 있다. 다만, 미국에서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코인셰어즈는 SEC에 면제 자문사로 등록돼 있으며, 코인셰어즈 헤지펀드 솔루션이 만든 사모투자 펀드의 일반 파트너 역할을 코인셰어즈 리미티드가 맡았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