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5년 동안 암호화폐에 대한 ‘디지털 절도’로 30억달러 규모를 벌어들였으며, 이 자금으로 핵·미사일 개발 자금의 절반을 충당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SJ는 미국 정부와 체이널리시스 자료 등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고, 그 실태를 보도했다.
“암호화폐 공격 시작되자 미사일 테스트 늘었다”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은 2018년 시작됐으며, 이 시기부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이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북한의 탄도미사일(ICBM) 개발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총 자금의 50%가 현재 북한의 사이버 해킹 작전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추정치(3분의 1)보다 50%가 늘어난 셈이다.
WSJ는 ‘해킹’을 전담하는 북한의 사이버 부대를 상정해 ‘디지털 은행강도’라 부르면서, 강화된 제재 탓에 외화벌이가 어려워진 북한이 실질적인 ‘경화(hard currency) 절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뉴버거의 언급을 전했다.

WSJ는 미국 정부를 인용해, 북한이 러시아, 중국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한 수천명의 IT 노동자로 고정 인력을 구축했으며, 이들은 캐나다 IT 종사자, 정부 공무원, 일본의 프리랜서 블록체인 개발자 등으로 위장해있다고 전했다. WSJ는 또 이들이 일반 기업에 취직해 일상적인 IT 기술 작업으로 연간 3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지만, 정권의 사이버 범죄와도 밀접하게 연관됐다고 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