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토큰증권 등 신종 디지털자산에 대한 불공정거래 조사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30일 이같은 내용의 자체 조직개편안 관련 보도자료를 내고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전담기구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기존에는 사건 성격에 따라 국-팀 체제를 가동해 왔다. 제보·기획사건은 기획조사국에서, 거래소 관련 사건은 자본시장조사국에서, 테마주나 복합적인 성격을 띤 특징적 사건은 특별조사국에서 맡는 방식이었다.
바뀐 조직개편안에서는 사건 성격에 관계없이 조사1국, 조사2국, 조사3국이 모든 영역을 다룬다. 보다 경쟁적인 환경에서 조사가 진행되는 셈이다. 다만 시장정보분석, 공매도 등의 분야는 별도의 특별팀을 편성했다.

디지털자산 불공정거래 조사는 조사1국에 편성되는 디지털조사대응반에서 맡는다.
금감원은 “가상자산, 차액결제거래(CFD), 조각투자 등 신종 투자상품이 계속 출현하면서 불공정 거래 조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디지털조사대응반은 토큰증권 등 자본시장법상 증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신종 디지털자산에 대한 조사기법과 시스템 마련 등 사항을 검토해 불공정거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에 대비해 디지털금융혁신국 등과 긴밀히 협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 사이트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선의의 목적과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게시되었습니다. 우리 사이트 내 정보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