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형 장부 기술의 표준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민관 위원회를 신설 했다는 소식이다.
중국 정부내 정보, 기술, 산업 등 한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업화정보부(工业和信息化部), 소위 정보통신부는 근래 ‘전국 블록체인 및 분산형 장부 기술 표준화 기술 위원회 조직 공지’를 발표하며,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형 장부 기술의 상용화에 앞서 각 부처 및 업계의 의견을 듣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현재까지의 발표에 따르면, 첫번째 위원회로 71명이 선발 되었으며, 이중 약 절반 이상은 공기업 및 공기관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권을 쥐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비서장급 이상의 위원은 총 11명으로, 중국내 학계를 비롯해, 공신부, 중국 인민은행 등 기관의 연구기관에서 대거 선발 되었으며, 이 밖에 10명의 경우 공신부를 비롯해 중국내 각 지방 정부의 공신청(각 지방 정부의 공신부) 출신 위원회가 선발 되었고, 11명은 각 학계 전문가 및 연구기관의 연구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기관을 제외하고 약 28개 사기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와 같은 중국의 거대 공룡 기업들이 참여한 것은 물론, 화웨이도 이번 위원회에 참여하게 되었다. 각 기업들은 기존에 국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며, 각 기업 마다 블록체인 백서를 내놓으며, DID, 이커머스, 물류-유통, 무역, 회계 등 각 영역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적극 추진해온 바 있다.우리 사이트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선의의 목적과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게시되었습니다. 우리 사이트 내 정보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스폰서
스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