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티드

코인원, 국내 거래소 최초 가상자산 41억원 판다…운영자금 확보 목적

1분
작성 Paul Kim
편집 Paul Kim

간략히

  • 코인원, 국내 최초로 보유 가상자산 팔기로 결정
  • 8일부터 업비트, 빗썸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에이다 등 41억원어치 매도
  • 매도 이유는 운영자금 확보로 추정
  • promo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국내 거래소 중 처음으로 보유 가상자산의 매도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지만, 업계에서는 업비트와 빗썸이라는 양대 강자에 맞선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코인원은 오는 8일부터 비트코인 10개, 이더리움 300개, 리플 20만개, 에이다 4만개 등 총 41억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매각할 예정입니다. 지난 달 말 기준 전체 보유 자산 485억원의 약 8.4%에 해당하며, 매도는 업비트와 코빗을 통해 31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결정은 지난 5월 정부가 거래소의 가상자산 매도를 허용하는 정책을 발표한 이후 처음 실행되는 사례입니다. 운영경비 마련이라는 명목이지만, 업계에선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서 코인원이 내놓은 조용한 구조조정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실적 악화, 인건비 부담, 거래량 감소 등 복합적인 경영상 압박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코인원의 시장 점유율은 업계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글로벌 통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8월 6일 기준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의 24시간 거래량 점유율은 업비트가 63.3%, 빗썸이 32.9%, 코인원이 3.05%로 나타났습니다.

인건비 측면에서도 업계 1, 2위인 업비트, 빗썸보다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코인원의 임직원 수는 약 210명이며, 1인당 평균 연봉은 8995만원으로 업비트(1억9907만원), 빗썸(1억1600만원)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정부가 거래소 보유 가상자산 매도를 허용하면서 시장에서는 오히려 거래량과 인지도가 더 낮은 코빗이 먼저 유동성 확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습니다. 그러나 코빗은 아직 가시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코빗이 보유한 가상자산은 약 73억원 상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KuCoin KuCoin 보기
Phemex Phemex 보기
Bybit Bybit 보기
Coinrule Coinrule 보기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KuCoin KuCoin 보기
Phemex Phemex 보기
Bybit Bybit 보기
Coinrule Coinrule 보기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paul_kim.png
비인크립토 선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크립토 컨설팅 기업인 원더프레임의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등 국내 언론사에서 12년 가량 기자로 일했고, 대학에서는 화학과 저널리즘을 전공했습니다. 크립토와 AI, 사회에 관심이 많습니다.
필자 소개 전체 읽기
스폰서
스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