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여당 주도로 웹3.0 생태계 조성과 디지털 자산의 미래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그동안 국회에서는 주로 디지털 자산 규제에 대한 시각이 강했는데, 업계 육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 것은 이례적입니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안양 동안갑)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웹3 생태계 혁신과 디지털 자산의 미래’ 토론회를 열고,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은 산업 정책 및 제도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웹3.0, 일명 ‘웹3’는 기존의 웹1.0(읽기), 웹2.0(읽기+쓰기)을 넘어, 탈중앙화·분산 구조를 기반으로 개인의 콘텐츠 소유권과 의사결정 참여를 강화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웹3 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산업 생태계 확산을 위한 로드맵을 구상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정무위원회 소속 민 의원을 포함해 웹3기업협회 김수룡 공동회장, 구윤철 전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지방시대위원회 김경수 위원장, 두나무 오경석 대표이사, 빗썸 이재원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축사를 전했습니다.
김수룡 공동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오늘날, 웹3는 기존 산업 질서를 넘어서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의 중심에 있다”며 “사용자 주권, 개방성, 투명성이라는 핵심 가치를 지닌 웹3는 신뢰 기반 생태계의 초석이자 사회 전반의 시스템을 재구성할 혁신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민 의원은 축사를 통해 “우리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데이터 인프라가 주도하는 디지털 전환의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며 “글로벌 디지털 경제 규모가 2024년 기준 108조 달러에 달하는 가운데, 웹3 기술과 디지털 자산이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웹3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디지털 경제의 인프라이며, 블록체인은 신뢰 기반 경제를, 디지털 자산은 새로운 자본 구조를 이끌고 있다”며 제도적 정비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피어테라(PeerTerra)사 헨리 김(Henry Kim) 의장이 ‘국내 웹3 산업 현황 및 미래 비전’을, 포스텍 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 송민택 연구위원이 ‘블록체인 기술의 사회경제적 가치와 활용 방안’을, 동국대 김선미 교수가 ‘디지털 자산 규제 환경 개선 및 투자 활성화’를 주제로 각각 발제에 나섰습니다.
이어진 패널토론은 동국대 이원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김태윤 빗썸 전무, 심정우 웹3기업협회 공동회장 등이 참여해 정책과 기술, 규제, 산업전략 등 다양한 관점에서 웹3 생태계 확산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