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을 앞두고 NHN이 블록체인 기업 수호아이오와 손잡고 중간 정산 인프라 구축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과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이 혼재하는 상황을 대비해, 코인과 원화 간의 교환을 원활하게 처리하는 중개 계층을 설계하겠다는 전략입니다.
블록체인 매체 디센터는 22일 복수의 업계 인물들을 인용해 NHN과 수호아이오가 스테이블코인 결제·정산 인프라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 발행을 넘어서, 서로 다른 발행 주체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생성된 스테이블코인을 하나의 허브에서 정산하는 시스템 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시장에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이 유통될 경우, 이를 원화로 바꾸기 위한 복잡한 제휴 구조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예컨대 네이버, 카카오, 신한 등 각기 다른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을 가맹점 A가 국민은행에서 원화로 교환하려면, 각 발행사가 국민은행과 별도의 제휴를 맺어야 합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역시 상이하기 때문에 정산 프로세스는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 NHN은 발행사, 가맹점, 금융기관 사이의 다자 간 관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고, 실시간 잔고 조회와 자동 정산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실증 실험은 빠르면 오는 9월부터 시작되며, 초기 단계에서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테더(USDT)와 유에스디코인(USDC) 기반의 정산 시스템을 시험할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 한국조폐공사도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NHN KCP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이 차세대 결제 및 정산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보고 다각적인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본격적인 사업 진출 여부는 확정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