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티드

테더, 카이아 블록체인 기반 USDT 출시…아시아 시장 본격화?

1분
작성 Paul Kim
편집 Paul Kim

간략히

  • 테더, 카이아 블록체인 위에서 USDT 발행
  • 예치수익 상품, RWA 토큰화 사업, 국내외 거래소 연동 등 추진할 계획
  • 카이아 "테더 및 라인 넥스트와 파트너십 통해 아시아 하이브리드 결제 솔루션 선도할 것"
  • promo

글로벌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Tether)가 카이아(Kaia)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네이티브 형태의 USDT(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카이아 DLT 재단은 7일 이같은 내용을 전했습니다. 카이아 DLT 재단은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 카이아의 국내외 확장을 위해 설립됐습니다.

테더의 이번 출시로 카이아 사용자들은 별도의 브릿지 사용 없이 카이아 생태계에서 직접 USDT를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카이아 DLT 재단은 보안성과 디파이(DeFi) 활용성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며, 카이아 블록체인의 1초대 블록 생성 속도와 즉각적인 확정성 또한 네이티브 USDT 운용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테더와 카이아 DLT 재단은 카이아가 라인 넥스트(LINE NEXT)와 구축한 라인 메신저 기반 웹3 플랫폼 ‘디앱 포털(Dapp Portal)’을 비롯해, 카이아 생태계에 속한 다양한 국내외 파트너사의 서비스 플랫폼과 연계해 USDT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로써 약 2억 명의 라인 메신저 사용자에게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저축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EO는 “카이아 블록체인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디지털 자산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는 아시아 지역 내 스테이블코인 채택을 가속화하려는 테더의 전략적 행보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카이아 DLT 재단은 USDT 발행과 함께, 이를 활용한 다양한 온체인 금융 프로젝트도 병행합니다. 예치수익 상품, 실물연계자산(RWA) 토큰화 사업, 온체인 지불 서비스, 국내외 거래소 연동 등이 주요 추진 과제입니다. 또한, 카카오 계열사와 라인 넥스트를 포함한 거버넌스 카운슬(GC) 멤버들과의 협업을 통해, 각 파트너사에 특화된 USDT 활용 솔루션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서상민 카이아 DLT 재단 의장은 “테더 및 라인 넥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실사용성을 높이고 하이브리드 결제 솔루션을 아시아에서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며 “카이아 USDT는 빠르고 안전하며 활용도 높은 온체인 금융 인프라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BYDFi BYDFi 보기
Phemex Phemex 보기
Bybit Bybit 보기
Coinrule Coinrule 보기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BYDFi BYDFi 보기
Phemex Phemex 보기
Bybit Bybit 보기
Coinrule Coinrule 보기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paul_kim.png
비인크립토 선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크립토 컨설팅 기업인 원더프레임의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등 국내 언론사에서 12년 가량 기자로 일했고, 대학에서는 화학과 저널리즘을 전공했습니다. 크립토와 AI, 사회에 관심이 많습니다.
필자 소개 전체 읽기
스폰서
스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