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등 초강대국들이 국가의 미래를 놓고 인공지능 패권을 다투는 가운데, 디지털자산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오픈소스 인공지능(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일리야 폴로수킨 니어 프로토콜의 CEO는 11일 서울 송파구 스카이31 컨벤션에서 열린 ‘오픈소스 AI 서밋 서울’ 기자 간담회에서 “AI 기술은 이제 어떤 조직도 혼자서 만들 수 없는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단순한 코드 공개를 넘어, 누구나 참여하고 기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구조가 진정한 오픈소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낡 행사는 블록체인 커뮤니티 빌더 기업 ‘크립토플래닛’이 개최한 콘퍼런스 ‘비들(BUIDL) 아시아 위크’의 일환으로 열렸습니다. 일리야는 간담회에서 AI 모델 개발의 고도화와 비용 상승으로 인해 단일 조직의 독자적 기술 축적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누구나 자유롭게 기술을 활용하고 수정할 수 있는 오픈소스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기술 공개를 넘어 혁신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생태계라는 설명입니다.
대표적 사례로는 AI 오픈소스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언급됐습니다. 딥시크는 중국계 생성형 AI 선두주자로 꼽히는 서비스입니다. 낮은 훈련 비용으로 서비스를 만들고, 그것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는 이유로 세계적 주목을 받았습니다. 일리야는 “오픈AI가 공개를 미루는 사이, 딥시크는 논문과 코드를 먼저 공개해 주도권을 가져갔다”며 “빠른 실행력이 오픈소스 AI의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리야는 “모델을 개선하거나 도메인 특화 기능을 더한 기여에 대해 정량적 평가와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할 기술로 ‘블록체인’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블록체인은 투명한 기여 기록과 자동화된 보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자와 연구자가 꾸준히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그는 “AI는 단일 모델로 완성되는 기술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동시에 다양한 개발이 이뤄져야 하는 기술”이라며, “이러한 분산적 개발 구조 안에서는 각자의 기여에 맞는 보상 시스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인크립토 웹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는 선의와 정보 제공의 목적을 위해 게시됩니다. 웹사이트 내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콘텐츠는 영어판 비인크립토 기사를 AI 번역한 기사입니다.
